10월, 2024의 게시물 표시

松契연구--철종11년(서기 1860년) 경상도 하동부의 소나무 관리규칙 송계절목(松稧節目) 을 번역하였습니다.

이미지
조선시대 말의 지방행정조직에서 작성한 한문과 이두문으로 된 행정 시행규칙인 송계절목을 판독하고 번역하였습니다. 당시 시대년의 육필로된 글로서 이체자가 많고 이두문과 혼재되어 있으며 특히 이름자가 우리나라 특유의 한자로 기재되어 있는 것이 이채롭습니다.  하동부에서는 정조 12년(1788년) 송금사목 (松禁事目)에 따른 종전의 절목(시행규칙)이 있었고, 갑자(1804) 무술(1848)에 절목이 있었음에도 봉산(國家山), 사산(個人山) 모두가 헐벗어 철종 12년에 다시 개정한다는 내용입니다. 정조 때의 송금사목에 따르므면 조선조에서는 소나무를 극히 중요한 자원으로 취급하였습니다. “소나무는 전함이나 세곡운반을 위한 수송선의 건조, 그리고 궁실의 건축용재로 효용이 크기 때문에 국정의 하나로서 남벌을 금하고 보호, 육성해야 하며, 監官, 山直(산지기)을  두어 함부로 경작하는 것과 무덤을 쓰는 것을 금하고 수령이나 변장(邊將)·도백(道伯) 등이 모두 이를 살피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일부 백성이 남벌·모경·입장 등을 하여 소나무 보호가 여의치 않으므로, 권하고 응징하고 상벌하는 법을 통일하여 관이 법을 지키고 백성이 영을 따르도록 고금의 문헌을 참고하여 이 절목을 제정한다.”고 하였고, 절목의 내용을 보면 먼저 산림행정의 기구로 감관, 산직 두고 있습니다. 대략 長廣 12㎞ 이상에 산지기 3명, 4㎞에 산지기 2명, 4㎞ 이내에 1명을 두고 감관은 12㎞에 1인, 12㎞ 이하에 관내의 관리 1인을 겸직시키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철종 때의 하동부의 송계절목(事目은 중앙의 법률격, 절목은 각지방의 시행규칙, 세칙격)을 살펴보겠습니다. 庚申三月 日官上  경신(1860, 철종11) 3월 모일 관청에 봉함 松稧節目  소나무 관리에 관한 금송조직(稧/禊/契) 시행규칙 庚申三月 日松稧節目 경신삼월 일송계절목 경신삼월 일 송계절목 禁松一事 國家莫大之政也甲子戊申 頒下 송금일사 국가막대지정야갑자무술 반하  節目何等申嚴是去乙 本府則毋論公私...

한문판독번역 -- 비석 탁본을 판독하고 번역하였습니다

이미지
영남지방의 명가의 관계자로부터 조상의 비석 탁본의 판독과 번역을 의롸 받았습니다. 일견한 바 잘쓴 예서체이므로 판독에 큰 문제가 없으리라 여겼지만 실제 판독시는 고체자와 이체자가 몇자 있어 전고(典故)를 찾아 현대 해서체로 변환하였습니다. 근 1000여자에 당하는 탁본 판독에 16시간, 한글 워드로 전사하는데 4시간, 한글로 번역하는데 4시간, 도합 24시간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판독결과 100여년전 일제시대에 다시 건립된 중시조의 비석임을 확인했습니다. 한문이나 고문서의 답답함으로 고민하시는 분들, 재산상 법률상 옛문서 내용을 알아야만 하는 분들, 조상의 비석이나 족보의 서문, 조상의 문집 등 잠자고 있는 문적을 알고 슆을 때는 주저말고 연락주십시오 (010-6387-7631) 漢文漢字지도사, 文字學연구 40여년, 고위공무원 퇴직, 舊호적·족보·古시문·漢字혼용 논문·일제시대 문서등 漢文번역, 成人·공무원 漢文시험 지도를 전문으로 합니다. 여러군데 번역을 시도했으나 불완전한 건, AI가 판독 못하는 한문문서 번역을 환영합니다. ​ 민사소송, 조상땅찾기 하시는 분들과 법무법인, 법률사무소, 변호사사무소 의뢰를 환영합니다. 번역대상물을 보고 상호 협의하여 최종 금액을 결정합니다. 사실조사서(행정사법에 의함) 또는 번역확인서 발급도 가능합니다. 민사소송(왜정시대, 일제시대, 일제강점기 이후의 한문 계약서, 등기부 등) 자료의 판독, 번역 후 사실조사서(행정사법에 의함) 또는 번역확인서(한문한자전문지도사1급) 발급

단어 이야기 -- 사열(査閱)과 분열(分列)

이미지
 한자 어휘력의 부족이 초중고등학생과 대학생, 그리고 기성세대인 언론사 기자들에게도 나타나고 있다. 2023년말 대통령의 영국 국빈방문 행사를 중계하는 한 방송사는 사열(査閱)과 분열(分列)을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 사열(査閱) : 군대의 전투준비 상태를 통수권자나 상급지휘관이 검열하는 것이고 분열(分列) : 군대가 출전이나 이동을 위해 대오(隊伍)를 갖춰 통수권자나 상급지휘관 앞을 통과하면서 행진하는 것이다. 동맹국이나 우방국의 통수권자 또는 상급지휘관이 사열하거나 분열을 받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사열은 통수권자나 상급지휘관이 능동적으로 행하는 것(검열하는 것)이고, 분열은 군대가 대오를 나누어 행진하는 것이다. 즉 통수권자나 상급지휘관이 군대를 사열하는 것이지 사열을 받는 것은 아니다. 화면 자막 "사열받아"는 잘못이다. < 자료인용 : KTV 유트브 캡쳐 > 국군의날 73주년 기념행사와 국군의 시가행진은 대한민국에 대한 자긍심과 국군에 대한 신뢰를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국군의날에 지난 자료를 보면서 기성 전문직업인의 어휘력 문제를 생각해 보았다.